10. 가상화 기술 개요
- 네트워크 가상화와 네트워크 장비 가상화 크게 두가지로 구분
- 네트워크 가상화는 이전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가상화 기술
- VLAN 이나 VPN 등이 있음
10.1 네트워크 가상화
10.1.1 VLAN (Virtual Local Area Network)
1) L2 스위치 기능으로 물리적인 배치에 상관없이 VLAN 생성 가능
2) L2 스위치 포트는 같은 IP서브넷에 포함
3) VLAN은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분할할 수 있어 각각의 장비는 최저한의 브로드캐스트만 수신하면 됨.
10.1.2 VPN (Virtual Private Network)
1) 공중회선을 사용해 가상 전용선을 만들고 이를 사용해 여러 거점을 연결하는 기술
2) 전역 네트워크가 아니면서 인터넷 상에 존재하지 않는 네트워크를 의미.
10.2 네트워크 장비 가상화
- n대인 장비를 합해서 논리적 한 대로 만드는 방식 / 물리적으로 한 대인 장비를 논리적 n대로 나누는 방식 2가지 종류로 나뉨
10.2.1 n대를 한 대로 만드는 가상화 (더하다)
1) 클러스터링 기능 가능 à 부하분산 장비가 가상의 한대로 움직이며, 서버가 보아도 한 대의 장비를 경유해서 통신하는 것처럼 보임
2) 시스코 C6500 시리즈에서 사용 가능한 VSS (Virtual Switching System), C3750 Stackwise technology도 n대를 한 대로 만드는 가상화 기술.
10.2.2 한 대를 n대로 만드는 가상화 (나누다)
1) 라우터 가상화
- VRF (Virtual Routing and Forwarding)
- IP-VPN 환경의 MPLS 백본에서 사용하고 있는 가상화 기술
2) L3 스위치 가상화
- cisco nexus 7000 시리즈가 구현하고 있는 VDC가 있음.
- 한 대의 L3스위치를 분할해서 복수시스템 또는 복수 고객을 서로 침범하지 않는 범위에서 공존
'IT-도서 정리 > 따라하며 배우는 부하분산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서버 부하분산 구축 환경 (0) | 2020.02.14 |
---|---|
8. SSL가속 (0) | 2020.02.14 |
7. SSL (0) | 2020.02.14 |
6. Application Switching (0) | 2020.02.14 |
5. Persistance (세션 유지 기능) (0) | 2020.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