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도서 정리/따라하며 배우는 부하분산 입문 (10) 썸네일형 리스트형 2. 서버 부하분산 기술 구조 2. 서버 부하분산 기술 구조 1) 서버 부하분산 기술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은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이다. 2.1 NAT란? (1) NAT란 패킷의 네트워크 주소, 즉 IP주소를 변환하는 기술 (2) NAT를 사용하면 IP주소 수를 줄이거나 거점 간에 중복된 IP주소를 통해 통신하는 등 IP 환경에 의존하고 있는 여러가지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3) 보다 넓은 의미의 NAT는 IP주소를 변환하기 위한 기술 전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4) 표준 NAT에는 정적 NAT / 동적 NAT가 있다. 1) 정적 NAT (1) 내부와 외부 IP주소를 1:1로 변환한다. 1:1NAT라고도 불린다. (2) 내부에서 외부로 접속할 때 출발지 IP주소를 변환한다. (3) .. 1. 서버 부하분산 개요 1. 서버부하분산 개요 1.1. 서버부하분산 기술이란? 1) 서버에 걸리는 부하를 분산하는 기술 1.2. 서버 부하분산이란 1) 서버관리 그 자체를 의미 2) Client와 Server간에 데이터 이동이 발생하는 client-server 시스템에 있어서, 서버 처리가 처음 발생하는 것은 Client가 접속 시작부터 발생한다. 1.3. 분산이란? 1) 동일한 서비스(HTTP나 FTP등)를 제공하고 있는 복수의 서버에 작업을 분배하는 것 2) Client 접속을 복수의 서버에 분배함으로써 복수의 서버에 처리를 분산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서버 부하를 각 서버가 나누어 가지게 된다. 1.4. 서버 부하분산 기술의 이점 1) 처리능력 향상 (1) Scale Up : 서버 자체의 성능을 향상 시키는 방법 (서버 교.. 이전 1 2 다음